티스토리 뷰

메모장

연차수당 계산방법

쩡대표 2023. 1. 1. 13:39
반응형

 

연차 발생 기준

근로기준법 제60조 및 61조에 따르면

상시근로자 5인 이상 사업장의 경우

법적으로 연차 유급휴가를 부여할 의무가 있습니다.

근속기간 1년 미만일 경우에는 1개월 단위로

만근 여부를 따져 1개월 만근시 1개의 연차가 발생합니다.

 

 

연차가 없는 회사

상시 근로자 수가 5인 미만이라면

연차를 지급할 의무는 없습니다.

5인 미만 사업장이더라도 자체적으로

휴가 제도를 도입하는 회사들도 있습니다.

 

 

연차수당 계산방법

 

연차수당 자동계산 - 노동OK

연차휴가,연차수당,통상임금,임금명세서,근로소득세 계산. 노동문제 상담까지 한꺼번에 해결합니다.

www.nodong.kr

연차수당금액 = 잔여연차일수 * 통상임금

 

1. 연차휴가 미사용일 수

2. 1주 근무시간

3. 급여액

위 내용을 입력 후 계산하기를 클릭합니다.

 

계산결과가 나옵니다.

 

 

연차 소멸시기

입사일로부터 1년간 미사용시 소멸됩니다.

 

 

연차수당 미지급 조건

연차수당 지급 의무는 기본적으로 존재하지만

회사에서 연차 사용을 촉진했다면

남아 있는 연차에 대한 수당을 지급하지 않아도 됩니다.

 

사업주는 근로자 개개인에게 서면으로 통보해야 합니다.

사내 게시판 또는 전체 공지 등으로만

연차사용을 촉진했다면 유효한 통보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경우 연차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반응형

'메모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인회생 면책신청서 제출방법  (0) 2023.01.02
2023년 무료 신년운세  (0) 2023.01.02
2023년 최저임금 주휴수당  (0) 2023.01.01
2023년 4대보험요율  (0) 2023.01.01
2023년 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0) 2023.01.01
댓글